[SBS 연예뉴스 | 김지혜 기자] 포스터만으로도 이 영화의 무드는 예상할 수 있다. 실화의 가슴 벅찬 감동을 스크린에 고스란히 재현하겠다는 지향이 보인다. 실제로 '1947 보스톤'(감독 강제규)은 영화적인 모험은 없으나 안전한 재미를 선사한다.
이 영화의 강점은 실화 그 자체에 있다. 서윤복의 보스톤 마라톤 제패 이야기는 미디어를 통해 여러 차례 소개돼 새롭다고 볼 수는 없다. 그러나 내공 있는 감독의 정석에 가까운 연출과 하정우, 임시완 두 배우의 호연이 더해져 말미엔 눈시울을 붉히게 된다.
'1947 보스톤'은 1947년 광복 후 처음으로 태극마크를 달고 국제 대회에 출전하기 위한 마라토너들의 도전과 가슴 벅찬 여정을 그린 이야기를 담은 영화. 1936년 베를린올림픽에서 한국 역사상 최초로 금메달을 땄으나 일장기를 가슴에 달고 뛰었다는 이유로 고개 숙여야 했던 '마라톤 전설' 손기정(하정우)이 제자 서윤복(임시완)과 함께 보스턴 마라톤 대회에 도전하는 스토리를 그렸다.
영화의 하이라이트는 약 20여 분간 펼쳐지는 보스톤 마라톤 대회 장면이다. 올림픽에 첫 출전한 서윤복의 42.195km의 여정은 구간별 레이스에 개인의 드라마를 결합시켜 감동을 유발한다. 이 여정의 사이사이에 등장하는 플래시백은 신파적 설정으로 보일 여지가 있으나, 시대의 곤궁함과 개인의 가족사를 에피소드에 녹여낸 정석에 가까운 연출이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 이 영화는 1947년이라는 시대성과 경성에서 보스톤으로 이어지는 공간이 이야기의 중요한 바탕이 된다. 광복이 됐지만 자주적 국가로 인정받지 못한 조선의 안타까운 상황이 관객의 공분을 자극하고, 우승의 환희가 강력한 카타르시스를 선사한다.
'1947 보스톤'에 대해 '국뽕'(국가와 히로뽕의 합성어로 국가에 대한 자긍심에 과도하게 도취되어 있는, 그러니까 무조건적으로 한국을 찬양하는 행태를 비꼬는 말) 고취 영화라고 평가 절하할 수도 있다. 가려진 역사를 조명하고, 알려진 역사를 재해석하려 했던 앞선 영화들과 비교하면 이 영화는 무난하다 못해 안일해 보이는 구석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 국민'이라는 정체성으로 이 영화를 바라보면 눈물을 흘릴 수밖에 없다. 일부러 애국심을 고취하기 위해 작위적으로 만든 이야기가 아니라 실제로 벌어졌던 영화 같은 일이라는데 '1947 보스톤'의 강점이 있다. 우리 민족의 아픔이자 비애의 역사이며, 불굴의 의지로 일궈낸 승리의 서사를 두고 그 가치를 절하하기란 쉽지 않다.
더욱이 강제규 감독의 연출은 국뽕과 신파로 흐를 수 있는 드라마의 감정선들을 비교적 담백하게 묘사하며 실화의 감동에 집중했다.
'1947 보스톤'의 숙제는 외견상 '국뽕'과 '신파'로 치부해 버릴 수 있는 이 작품의 특수성에 대한 관객의 비호감 혹은 무관심 지수를 극복하는 일이다. 영화의 재미가 문제가 아니라 영화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키는 것이 더 중요해 보인다. 개인의 취향이나 선호가 그 어느 때보다 분명해진 영화 시장에서 다소 옛스러워보이는 영화의 룩은 보이지 않는 벽이다.
그 답은 결국 하정우, 임시완이라는 두 배우에게서 나온다. '마라톤의 전설' 손기정을 연기한 하정우는 화려하진 않아도 단단한 연기로 윗세대의 어른이자, 강단 있는 스승의 역할을 연기해 냈다. 천재적인 재능의 젊은 마라토너 서윤복으로 분한 임시완은 체지방을 6%대까지 끌어내리는 외형의 변화는 물론이고 고집과 총기가 빛나는 연기로 관객을 보스톤 대회까지 잘 안내한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