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통과 혼돈의 시대, 그 속에서 피어나는 사랑. 그리고 독립을 위해 처절하게 살아갈 수밖에 없었던 우리네의 이야기를 그린 KBS 2TV 수목극 '각시탈'(극본 유현미, 연출 윤성식/ 차영훈)이 28회를 끝으로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6일 방송된 '각시탈' 마지막 회는 각시탈을 일제히 쓴 조선인들이 “대한민국 만세”를 외치며 종로경찰서로 향하는 열린 결말로 여러 메시지와 긴 여운을 남기며 아름다운 퇴장을 맞았다.
이날 방송에서는 일제시대에 고통 받았던 우리 민족의 잊지 못 할 아픔을 극적으로 보여주는 이강토(주원)와 기무라 ?지(박기웅)의 대립이 오목단(진세연)의 죽음으로 절정에 달했고, 한민족을 고통으로 몰아넣었던 주범인 우에노 히데키를 각시탈이 처단했다. 또한 폭주했던 ?지 역시 자살로 '참회' 생을 마감하면서 '권선징악'의 메시지를 전달했다.
탄탄하고 흥미진진한 스토리, 액션으로 많은 볼거리를 제공한 '각시탈'은 가슴을 뻥 뚫리게 해주는 단순한 '통쾌함'을 떠나 메시지와 여운을 남겨 전 국민적인 사랑을 받으며 '국민드라마'의 위용을 떨칠 수 있었다.
마지막 회에서 각시탈 이강토가 자신을 대신해 죽음을 맞은 아내 목단의 식어가는 육체를 끌어안고 울부짖으면서도, 개인적인 복수보다는 그 원흉인 우에노 히데키를 처단하러 가는 장면은 이 드라마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집약적으로 보여줬다.
전쟁 광신도이자 키쇼카이의 수장 우에노 히데키에게 이강토는 “당신은 태평양을 넘어서려는 야욕으로 나와 ?지에겐 가족을 빼앗아갔다”고 말했다. 하지만 우에노 히데키는 "전쟁은 지극히 선한 것이다. 전쟁이야말로 훌륭한 역사를 만든다. 그 과정에서 희생은 불가피하다”고 끝까지 파렴치한 얘기를 내뱉었고, 이에 이강토는 “천만에. 전쟁은 시체뿐인 무덤이고 씻을 수 없는 범죄다"라며 그를 처단했다.
이렇듯 일본의 제국주의와 전쟁에 미쳐있던 그들의 역사를 되짚으면서 '평화'의 의미를 되짚기까지 한 '각시탈'. 대사 한 줄로 모든 것을 정리하는 이 드라마야말로 진정한 영웅이었다.
우리가 '각시탈'에 열광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또 있다. 다소 무거울 수 있는 역사적 소재를 화려한 액션과 세련된 영상미로 잘 담아낸 연출, 그리고 주원을 비롯한 박기웅, 한채아, 천호진, 전노민, 김응수, 안석환, 김정난, 반민정, 김명수, 김명곤 등 많은 출연진들의 호연이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독도문제로 한일관계가 악화되는 상황 속에서 위안부 문제와 학도병 징용 등 역사적 사실을 생생하게 보여주며 우리가 잊고 지낸 '나라 잃은 설움'과 자연스레 가슴 속 깊이 벅차오르는 '애국심'을 느끼는 계기가 됐다.
'각시탈' 마지막 회 이후 시청자들은 “우리 민족의 역사를 다시 한 번 가슴속에 되새길 수 있었다. 진짜 배우들 연기 최고다”, “가슴이 먹먹한 결말이다. 강토가 다시 정신을 차리고 힘내는 강한 모습이 믿음직스러웠다. '각시탈'을 볼 수 있어서 행복했다”, “각시탈의 주제는 반전 철학이다. 강토나 목단이나 ?지, 그들의 적은 전쟁에 미친 전쟁광이다” 등의 시청평을 쏟아냈다.
한편, '각시탈'은 마지막 뒷심을 발휘하며 자체최고 시청률을 경신했다. 7일 오전 시청률조사회사 AGB닐슨미디어리서치 집계결과에 따르면 '각시탈' 마지막회는 전국 기준 22.9%의 시청률을 기록했다.
(OSEN 제공)
※위 기사는 SBS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OSEN에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